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乙女の美学(숙녀의미학) - 새로운 학교의 리더즈 [가사/발음/번역]

Artist : 新しい学校のリーダーズ

by 헤이_HAY 2023. 5. 21. 20:30

본문

※ 가사 / 발음 / 번역 (의역)
 

乙女の美学 (2023) / 클릭 시 애플뮤직으로 이동합니다

 
 
Title : 乙女の美学 (숙녀의 미학)

Artist : 新しい学校のリーダーズ (a.k.a. ATARASHII GAKKO!)

(아타라시이 각코, 새로운학교의 리더즈)
Written by : H ZETT M / 新しい学校のリーダーズ
Released : 2023.4.12

 
 

이곡은 진짜 라이브가 미쳤습니다 꼭 라이브를 봐야합니다 귀한 자료입니다

 
 
強い女が どうとか
츠요이 온나가 도오토카
강한 여자가 어떻다
何故か上から 言うけど
나제가 우에카라 유우케도
왜인지 위에서 말하지만
あなた何にもわかっちゃいない
아나타 난니모 와캇차이나이
당신은 아무것도 모르잖아
三つ指ついて どうとか
밋츠유비츠이테 도오토카
세 손가락을 가리키며 어떻다
昔ながらに 言うけど
무카시나가라니 유우케도
옛날 방식으로 말한다 해도
泣けど 耐えど わかりたくない
나케도타에도 와카리타쿠 나이
울더라도 참더라도 알고 싶지 않아
高嶺の花 (*)
타카네노 하나
절벽 위의 꽃
歩く百合の花 (**)
아루쿠 유리노 하나
걸으면 백합
(強い 風に 揺れる)
츠요이 카제니 유레루
(강한 바람에 흔들리네)
曲げ (シュビ) られぬ(ドゥバ)乙女の美学 
마게 (슈비) 라레루 (두바) 오토메노 비가쿠
굽힐 (슈비) 수없는 (두바) 숙녀의 미학
徒 (シュビ) 然(ドゥバ) 邪魔しないで
츠레 (슈비) 즈레 (두바) 자마시나이데
쓸데 (슈비) 없이 (두바) 방해하지마
変わ (シュビ) りゆく(ドゥバ) 大和撫子 (***)
카와 (슈비) 리유쿠 (두바) 야마토나데시코
변해 (슈비) 가는 (두바) 여자다움
夢 (シュビ) 夢(ドゥバ)忘れないで
유메 (슈비) 유메 (두바) 와스레나이데
꿈을 (슈비) 꿈을 (두바) 잊지는말아

 

弱い女が どうとか
요와이 온나가 도오토카
약한 여자는 어떻다
いつも上から 言うけど
이츠모 우에카라 유우케도
항상 위에서 말하지만
あなた何にもわかっちゃいない
아나타 난니모 와캇챠이나이
당신 아무것도 모르잖아
一歩下がって どうとか
잇포 사가앗데 도오토카
한 발 물러서서 어떻다
昔ながらに 言うけど
무카시나가라니 유우케도
옛날 방식으로 말한다 해도
泣けど 耐えど わかりたくない
나케도 타에도 와카리타쿠 나이
울더라도 참더라도 알고 싶지 않아
立てば芍薬 (****)
타테바 샤쿠야쿠
일어서면 작약
座る牡丹 (*****)
스와루 보타응
앉으면 모란
強い 雨に 濡れる
츠요이 아메니 누레루
강한 비에 젖는데 
曲げ (シュビ) られぬ (ドゥバ)乙女の美学
마게 (슈비) 라레누 (두비) 오토메노 비가쿠
굽힐수 (슈비) 없은 (두바) 숙녀의 미학
徒 (シュビ) 然(ドゥバ) 邪魔しないで
츠레 (슈비) 즈레 (두바) 자마시나이데
쓸데 (슈비) 없이 (두바) 방해하지는마
 
(シュビ)
(シュビ)
(シュビ)
(シュビ)
(シュビ)
(シュビ)
(シュビ)
(シュビ)

曲げ (シュビ) られぬ(ドゥバ)乙女の美学
마게 (슈비) 라레누 (두바) 오토메노 비가쿠
굽힐 (슈비) 수없는 (두바) 숙녀의 미학
徒 (シュビ) 然(ドゥバ) 邪魔しないで
츠레 (슈비) 즈레 (두바) 자마시나이데
쓸데 (슈비) 없이 (두바) 방해하진마
変わ (シュビ) りゆく(ドゥバ) 大和撫子
카와 (슈비) 리유쿠 (두바) 야마토나데시코
변해 (슈비) 가는 (두바) 여자다움
夢 (シュビ) 夢(ドゥバ)忘れないで
유메 (슈비) 유메 (두바) 와스레나이데
꿈을 (슈비) 꿈을 (두바) 잊지는말아요 
 


 

 

乙女 (오토메) 는 '숙녀'로 번역했다. 어른이라고 하기에는 어리고, 소녀라고 하기에는 알 건 아는 나이 인 느낌이라 '처녀'로 많이 번역되는 것 같은데 와닿지가 않았음. '아가씨'영화의 '아가씨'같은 느낌으로 숙녀가 적절하다고 생각해슴

 

이 곡의 가사는 여성에게 매겨지는 각종 기준들에 대해 비판하는 내용이다. 여성의 가능성을 제한하고 여자라면~ 어때야한다는 잣대에서 벗어나서 나(여성)으로서 하고싶은 것들을 놓치지 말자는 내용. 가사가 꽤나 대놓고인데 쇼와 음악에 얹으면서 비판의 강도가 중화되어 다가온다. 7-80년대 가요 음악을, 쇼와 가요 분위기의 무대 위에서, 그때 공연 방식으로, MZ세대(ㅋㅋㅋ)가 페미니즘 가사를 읊기. 정말 엄청남

이 곡에 대해서 한 일본인이 '음은 쇼와인데 가사는 레이와' 라고 한 것이 크게 와닿았다

 

아래 타카네노하나, 야마토나데시코, 아루쿠요리노하나, 타테바샤쿠야쿠, 스와루보타응 모두 여성을 꽃에 빗대어 표현하는 관용어로서 성차별적인 빻은 단어

 

 

* 高嶺の花 (타카네노하나): 절벽 위의 꽃 

갖고 싶을 만큼 매력적이지만 닿을 수 없는 존재, 오르지 못할 나무라는 뜻으로, 남성들이 모두 탐내지만 탐내기에는 과분한, 도도하고 고상하고 아름다운 여성을 표현할 때 사용하기도 하는듯. '그림의 떡'으로 많이 해석을 하지만 특히, 여성을 대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 歩く百合の花 (아루쿠유리노하나) : 걷는 모습은 백합의 꽃

**** 立てば芍薬 (타테바샤쿠야쿠) : 일어서면 작약

***** 座る牡丹 (스와루보타응) : 앉으면 모란 

'일어서면 작약(****), 앉으면 모란(*****), 걷는 모습은 백합의 꽃(**)' 이라는 여성의 아름다움을 꽃에 비유한 표현이다. 이렇게 보나 저렇게 보나 아름다운 여성이로다! 라는 느낌임. 세 손가락을 가리키며(三つ指ついて) 말을 얹는다는건 이 세 가지의 꽃을 말하는 듯

이 곡의 가사에서는 '걷는 모습은 백합(7월 개화) --> 일어서면 작약(6월 개화) --> 앉으면 모란(5월 개화) ' 순으로 되어있는데 퍼포먼스와 맞춘 것 같기도 하고 개화시기 순서를 거꾸로 뒤어서 기존에 만들어 놓은 기준을 뒤집겠다는 의미를 담은 것일까 하는 추측도 해보았다.  

 

그리고 이 꽃들은 '강한 바람에 흔들리고', '강한 비에 젖어버리지만' 꿈을 꾸는 숙녀는 아무리 어려운 시련에도 굽혀지지 않는다. 그것이 '숙녀의 미학'. 

 

*** 大和撫子 (야마토나데시코) : 옛일본의 술패랭이꽃

'여자는 모름지기~ 야마토나데시코지~' 라는 느낌으로 일본에서 이상적인 여성의 모습을 표현하는데에 사용된다. 이상적인 여성상은 또 뭐냐하면... 겉보기에는 청초하고 조신하나 심지는 단단해서 주위에서 하는 말에 쉽게 흔들리지 않고 흐트러지지 않는, 가끔은 남성에게 내조와 헌신을 다하는 (ㅋㅋㅋ) 자세의 여성을 말한다.

'요조숙녀'로 많이 번역한다고 하지만 그건 한국에서 선호되는 전통적 여성상이 요조숙녀의 모습이기 때문에 그런듯하고 일본의 문화가 담긴 비유적인 표현이라 정확한 대체어는 딱히 없는 것 같다. 고민 끝에,, '여자다움'으로 의역했는데, 이 곡에서는 야마토나데시코, 즉 오래전부터 여성을 향해 규정되어온 이상적 기준은 이제 변하고 있고, 변해야한다고 그 기준 자체에 대해 비판하고 있기 때문

 

 



 
이 노래는 진짜...................
개 오 졌 다. 

진짜 이건 제이팝의 한 획을 그을거라고 믿어의심치않음. 진짜임. 내 말 믿으삼.

 

가사도... 스즈카의 가창도... 퍼포먼스도.......  

이 곡의 퍼포먼스가 세상에 처음 공개된 그 현장을!! 라이브를!!! 내 눈으로 직접 봤을 때 .. '와 얘는 진짜 뭐지....천재라는 말로밖에 표현할 수 없는 나의 어휘력에 탄식이 나오네..'와 동시에 '쇼와 가요 덕후가 결국 일을 냈구나..'란 생각이 연이어 들었다..ㅋㅋㅋㅋㅋㅋ

 

다들 오토메노비카쿠 하세요.....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